생활정보

겨울철 필수품 전기장판 사용시 주의사항 11가지

2016. 11. 22. 14:05

겨울철 필수품 전기장판 사용시 주의사항 11가지


추운 겨울철에는 전기장판을 따뜻하게 틀어논 침대안에서 노곤노곤하게 있는 것이 매우 좋은데요. 하지만 전기장판을 잘못이용하는 경우에는 건강 또는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건강상의 문제는 전자파, 저온화상등이 있구요. 전기장판 또한 온열기구이기 때문에 잘못된 보관 및 사용으로 인하여 집안의 화재를 불러일으킬 수가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점들을 주의하면서 사용하면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나기가 가능한데요.



겨울철 필수품인 전기장판의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자파



대부분의 가정제품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약하지만, 장시간 노출될 경우 신경계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시 각성상태를 높여 수면의 질을 낮추게 됩니다. 따라서 전기장판을 이용하되 전자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1) EMF인증


전기장판은 전기로 열을 내는 제품이기 때문에 無전자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EMF인증은 전자파가 나오되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극소량의 전자파가 나오는 제품만이 획득할 수 있는 인증이기 때문에 EMF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3~5cm의 이불, 담요


3~5cm 정도의 이불이나 담요를 위에 깔아두고 사용하게 되면 전자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4cm정도의 이불을 깔아두고 사용하면 전자파가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고 하니, 그냥 사용하는 것 보다는 이불을 깔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온도조절기와 30cm


전기장판에서 전자파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이 바로 온도조절기 입니다. 따라서 온도조절기를 머리부분보다는 발부분에 놓고, 최대한 몸과 떨어뜨려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높은 온도x, 장시간 사용x , 미사용시 코드뽑기


높은 온도일수록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고, 전자파는 몸에 누적이 되기 때문에, 전기장판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그만큼 몸에 전자파가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일정한 온도가 되면 전기장판의 축적된 열을 이용하고, 장시간 사용하지 않도록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코드를 뽑아 전원을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2.  화재위험


매년 전기장판으로 인해 약 200건의 화재가 발생하는데요. 전기장판은 전기로 열을 내기 때문에, 잘못된 보관 또는 사용으로 인해 온도가 과하게 올라 화재의 위험성이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1.) 구부린채로 장기관 보관 및 사용


겨울 한철만 쓰기 때문에 그동안 장시간 구부린채로 보관을 하거나 먼지가 쌓이게 되면 열선이 끊어지거나, 먼지로 인한 합선으로 사용시에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전기장판이 구부러친채로 사용을 하게되면 내부의 열선을 감고있던 비닐이 끊어져 과열 또는 합선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3.) 온도조절기는 이불 밖으로


온도조절기를 이불안 또는 천으로 감싸놓으면 온도조절기의 온도가 과열되어 화재의 위험성이 있고, 충격이나 물이 닿게 되면 오작동의 원인이 되므로 온도조절기는 충격을 받는 평평하고 안전한 곳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4.) 라텍스 제품과 사용x


라텍스 제품은 일반섬유에 비해 보온성이 뛰어나 전기장판과 사용할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장판과 라텍스침대, 라텍스배게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저온화상 



잠이 들게 되면 아무래도 감각이 둔해지게 되는데요. 사람의 피부는 40도 이상의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게 되면 낮은 온도라고 하더라도 화상을 입게 됩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 또는 피부에 직접인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1)  피부와 직접 닿지않게


아무래도 열을 직접적으로 받게되면 온도가 더욱 높으므로, 이불을 깔고 사용하는 것이 저온화상을 피할 수 있구요. 잠을 잘때는 온도는 비교적 낮게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2)  아토피


우리 피부는 40도 이상의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표면의 단백질이 파괴되어 수분을 빼앗겨 건조해지고 가려움을 느끼게 되는데요. 아토피 환자들은 이러한 피부건조가 발생되면 아토피가 더욱 심해지므로 전기장판 사용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음주, 수면제 복용


음주, 수면제를 복용한 후 취짐하게 되면 평소보다 더욱 감각이 무뎌져 온도를 평소보다 과도하게 하거나

피부가 뜨거운데도 모르고 수면을 취하여 저온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음주후 수면, 또는 수면제를 복용하였다면 온도를 평소보다 낮춰서 사용하기를 바랍니다.


이상으로 겨울철 필수품 전기장판 사용시 주의사항 11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전기장판의 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하면, 자기전에는 따뜻하다고 좋을 수 있으나 높은 온도에서 전자파가 더욱 발생하고, 저온화상, 화재의 위험이 있구요. 또한 몸의 온도가 높으면 숙면에 이르지 못해, 자고 일어나도 몸이 뻐근하거나 개운함을 느끼지 못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온도는 낮춰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성자

Posted by @^_^@

공유

댓글